반응형
MacOS 사용자에게 Dock 설정 방법 및 자세한 기능별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.
MacOS Dock 설명
- MacOS Dock은 Launchpad, 휴지통처럼 사용자가 매일 사용하는 앱 및 기능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상태 바입니다.
- MacOS의 Dock은 인터넷에서 내려받은 항목의 폴더 하나와 아직 Dock에 포함되지 않은 최근에 사용한 앱을 3개까지 표시할 수 있습니다.
- MacOS의 Dock은 화면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지만, 옵션의 설정으로 왼쪽이나 오른쪽 가장자리를 따라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.
MacOS Dock 설정 열기
- Dock에서 앱 구분 선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면 Dock 설정을 열기로 할 수 있습니다.
- Apple 마우스는 두 개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Dock 설정을 열기로 할 수 있습니다.
- MacOS 설정 앱을 클릭하고 데스크톱 및 Dock 클릭하세요.
- MacOS 세부 Dock 설정은 이미지에 표시한 숫자를 참고해서 따라 해 보세요.
MacOS Dock 설명.
MacOS Dock 설정 방법
1. Dock 크기 조절.
- Dock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으로 '작게'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'크게' 방향으로 갈수록 Dock 크기가 커집니다.
2. Dock 아이콘 조절.
- MacOS Dock에 추가된 응용 프로그램에 마우스 커서를 근처에 이동시키면, 주변 앱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.
- 보통 Dock 크기를 작게 설정하고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켜 무슨 앱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기능은 끔, '작게'부터 '크게' 설정할 수 있습니다.
3. 화면에서의 위치 변경.
- MacOS는 기본적으로 Dock 위치는 Windows와 동일하게 하단에 설정되어 있습니다.
- 그러나 MacOS에서는 Dock 위치를 왼쪽, 오른쪽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.
4. 윈도창 최소화 효과 변경 방법.
- 윈도 최소화 효과는 Windows와 동일하게 특별한 시각적 효과가 없는 '크기 효과'하고,
- 윈도 창을(사용 중인 앱) 최소화할 때 애니메이션 기능을 추가한 '요술램프 지니 효과'가 있습니다.
- 요술램프 지니는 옛날 만화영화에 나오는 요술램프 생각하면 비슷합니다.
5. 윈도창 제목 막대 두 번 클릭.
- 윈도창 제목 막대 두 번 클릭은 채우기, 확대/축소, 최소화, 안 함으로 총 4개로 분류가 있습니다.
- 채우기는 해당 창을 모니터 화면에 최대화합니다.
- 확대/축소는 최대화, 최소 화면으로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.
- 최소화 기능은 창을 Dock으로 창을 내릴 수 있습니다.
- ‘안 함’ 기능은 윈도 창 더블클릭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.
6. 응용 프로그램 아이콘 속으로 윈도 최소화.
- 응용 프로그램 아이콘 속으로 윈도창 최소화할 때 최소화하는 방법에 대한 설정입니다.
- 활성화, 비활성화할 때 윈도창 최소화되는 위치가 다르죠?
- 그림을 따라서 한번 실행해 보세요.
7. 자동으로 Dock 가리기와 보기.
- Dock의 기본 설정은 항상 보이 기이지만, 사용하지 않을 때 숨기기로 할 수 기능입니다.
- 예를 들면, 코딩할 때는 Dock을 사용하지 않기 화면에서 숨기기하고 프로그램 창을 크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
8. 응용 프로그램 열 때 아이콘 움직이기.
- 앱을 처음 실행할 때 앱 아이콘을 움직이게 할 수 있습니다.
- 거의 사용하지 않는 기능입니다.
9. 열려 있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표시 보기.
- MacOS에서 종료되지 않은 앱을 표시할 때 사용합니다.
- Dock 안에서 응용 프로그램 아이콘 밑에 점으로 표시합니다.
10. Dock에서 제안된 앱 및 최근 앱 보기.
- Dock에 최근 사용한 앱을 표시할 때 사용합니다.
- 자주 사용하는 앱을 계속 사용한다면, 유용한 기능입니다.
MacOS Dock 마무리 하며.
Dock 기능은 MacOS 이용자별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설정 환경을 다르게 사용하므로 최적화, 좋은 기능에 관해서 이야기하지 않습니다.
예를 들면 학생 및 일반적인 사용분들은 Dock을 유용하게 사용하지만, 대부분 개발자는 검색 및 단축키를 사용합니다.
즉, Dock은 부족한 모니터 공간을 한자리 차지하고 있는 기능으로 생각합니다.
반응형